적정진료지원팀

 
직원명단
 
 
구분 성명
적정진료실장 신석균
적정진료실 차장 김성우
적정진료실 팀장 김미란
파트장 윤수진
팀원 임옥순 노이나 김현진 안정희


주요활동내역
 
 

가. 질향상 활동
  ◎ ‘정확한 환자관리’를 중점과제로 QI공모하여 총 28편의 활동 진행 (2014.03.21~09.05)
    - 중점과제 : ‘정확한 환자관리’ 관련 주제 12편
    - 지정주제: '투약오류 감소'(환자안전부문), '삽입기구 관련 감염률 감소'(감염관리부문) 등 3편

  ◎ 체계적인 질 향상(QI) 활동을 위한 중간점검 단계 강화
    - 진행 단계에 맞는 QI도구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기존 5단계에서 7단계로 세분화
    - QI점검 및 피드백 강화를 위한 ‘QI중간보고회’ 운영 (2014.07.15)

  ◎ 직원역량 강화를 위한 QI교육 진행 (2014.02.03~11.30)

  ◎ QI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공유 및 환류 (2014.11.11)
    - ‘소아 진정치료 수행률 향상’ 활동 등 구연 8편, 포스터 8편 발표 및 포상

  ◎ 영역별 지표 선정 및 관리
    - 목적 : 의료기관 차원의 지표를 선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
    - 지표 : 총 49개 (환자안전영역 11개, 질환영역 9개, 진료영역 21개, 관리영역 8개)
    - 부서차원의 지표관리, 지표결과의 경영진 보고 및 전직원 공유 실시

  ◎ 환자확인 캠페인 활동 (2014.11.11)
    - ‘정확한 환자확인’의 중요성 인식 강화 (병원장, 행정부원장, 간호부장, 간호팀장 등 12명)

  ◎ 대외활동
    - 국내·외 기관의 QI우수사례 선정을 통한 모델병원 위상 강화 (총 15편)
      · 국제의료질향상학회(ISQua) : ‘근거기반의 낙상예방 활동’ 등 4편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외과적 손씻기 수행률 향상 활동’ 등 2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 : ‘간호사 투약오류 감소 활동’ 등 9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임원 : 부회장 조경희(적정진료위원회 위원), 학술이사 신석균(적정진료실장)
    - 국내 학술대회 발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 : 신석균(봄학술대회), 김성우(가을학술대회)

  ◎ 질 향상(QI) 목록
구분 과제팀 과제명
환자안전(9) 중앙수술실 수술실 환자 안전관리점검표를 활용한 환자 상태 확인 강화
건강검진센터 건강증진센터 내시셩실 감염관리 활동
병동간호팀 수술환자 안전 향상 활동
간호사 투약오류 발생 10% 감소
외래간호팀 외래 환자확인 수행률 향상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치료실의 정확한 환자관리
내과계집중치료실 비계획적 발관율 감소 활동
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센터 환자안전 증진 활동
간호업무개선위원회 입원환자의 환자확인 수행률 증진
간호업무개선(4) 마취회복실 부서원의 마취장비 활용능력 향상
분만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신생아 소생술 대처능력 향상
중앙수술실 비처방성 의료소모품의 효율적 관리
중앙멸균소독실 멸균물품 관리 표준화
임상질지표(3) 영상의학과 입원환자의 영상 특수파트 검사 판독률 향상
감염관리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 활동
병리과 병리과 조직 및 세포검사의 TAT 관리체계 확립
직원안전(1) 감염관리실 직원 주사침 자상 사고 감소 활동
진료지원 업무개선(7) 치과 소모성진료재료의 효율적 관리
영양팀 연하곤란식 섭취 환자의 영양관리 및 표준화 활동
핵의학과 Bone scan의 Artifact 발생 감소를 통한 영상의 질 확보
진단검사의학과 미량알부민 검사 활성화를 통한 병원 수익성 향상 활동
약제팀 조제 및 불출 오류 감소
국제진료센터 국제진료 환자의 효율적 관리
재활치료센터 외래환자의 재활치료 적정성 확보
진료표준화(3) 정신건강의학과, 122병동 자살예방을 위한 표준화 활동
안전한 신체억제대 TFT 안전한 신체억제대 적용을 위한 표준화 활동
소아진정 TFT 소아 진정치료 수행률 향상 활동
행정지원 업무개선(1) 의무기록팀 의무기록 표준약어 관리개선

나. 환자안전관리 활동
  ◎ 환자안전 예방 및 개선활동
    - 사건 유형 및 영향분석(FMEA)을 이용한 간호사 투약오류 예방활동
    - 인공기도유지환자의 검사실 이동 프로세스 개선 활동 : 재활의학과, 간호부, 영상의학과
    - 혼동하기 쉬운 처방(유사이름, 유사모양)의 오류 예방 활동 : 내분비내과, 간호부, 약제팀
    - 휴일 항암제 조제 프로세스 개선

◎ 환자안전인식 강화활동
    - ‘제7차 환자안전의 날’ 개최(2014.05.28): 심폐소생술 시연, 동영상 발표회, 1대100 퀴즈대결 등
    - ‘환자안전인식도 조사’ 실시(2014.09.01~2014.09.14): 8개 부문 총 51문항 (5점 척도)
    - 환자안전 활동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환자안전관리자' 운영 (36명)
    - 환자안전보고 우수부서 포상 (2014.05.28)

다. 2주기 의료기관인증 수검
  ◎ 의료기관인증 TFT 구성 (2014.03.06)
    - 목적 : 환자안전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확보를 통한 성공적인 재인증 획득
    - 기본가치 및 성과관리체계분과 등 5개 세부분과
    - 팀구성 : 진료부원장, 진료부장, 의료기관인증 자원조사위원, 주요부서 팀장 등 총 45명

  ◎ 2주기 의료기관 인증선포식 (2014.06.13)
    - 인증추진기 수여식, 의료기관인증 TFT 소개 및 의료기관인증 소개

  ◎ 진료체계 표준화를 통한 안전한 의료환경 도모를 위한 진료세칙 제·개정
    - 2주기 의료기관인증 조사기준 및 자체평가 시 미비사항 반영
    - 진료세칙 현황 : 환자확인, 정확한 의사소통 등 총 107개

  ◎ 성공적인 2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을 위한 자체평가 실시
    - 1차 (2014.08.27~29)
    - 2차 (2014.09.30~10.02)
    - 3차 (2014.11.11~14)
    - 최종리허설 (2014.12.03, 2014.12.10~11)
    - 최종점검 D-rounding (2014.12.01~12)
    - 임원진 라운딩 실시 (2014.12.08~12)

  ◎ 2주기 의료기관인증 수검 (2014.12.16~19)
    - 조사위원 : 의사 2명, 간호사 1명, 전담조사위원(간호사 1명, 의무기록사 1명) 등 총 5명
    - 인증조사결과 : ‘인증’

  ◎ 안전한 병원 환경 조성을 위한 ‘환자안전점검’실시
    - 환자안전점검팀 구성: 의료기관인증 자원조사위원, 적정진료실 차장 등 9명
    - 실시내역 : 2014.03~09, 총 9회 실시

  ◎ 정신보건시설평가 수검
    - 정신보건시설평가준비 TFT 구성 및 운영 :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의료기관인증 자원조사위원 등 9명
    - 서면평가 자료 제출(2014.04.30) : 의료기관운영현황, 정신과보호병동 도면, 정신건강의학과 세칙 등
    - 평가결과통보(2014.12.16) : 합격

  ◎ 대외활동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자원조사위원 활동
구분 의사직 간호직 일반직
급성기 병원 강경훈, 이준홍, 홍기표, 유종하, 이현규 부은희, 김미란, 송복희 안효준
정신보건시설평가   오인옥, 박희선 김교상

    - 타병원 벤치마킹 기회제공 : 인증경험을 공유하여 모델병원으로써의 역할 수행
      · 방문기관 : 파주의료원(2014.06.24~26), 참포도나무병원(2014.05.30, 3명)

라. 적정성평가
  ◎ 평가 수검활동
평가항목 대상건수 평가대상 기간 수검활동 기간 제출 서식종류
급성기 뇌졸중 140건 2014년 6월~8월 자료제출 2014.12.16~2015.01.16  
대장암 140건 2013년도 진료분 자료제출 2014.05.07~2014.05.27  
신뢰도 점검 2014.05.28~2014.06.10 20종
최종자료 확인 2014.08.03~2014.08.18  
유방암 61건 2013년도 진료분 자료제출 2014.04.21~2014.05.16  
신뢰도 점검 2014.05.28~2014.06.10 13종
최종자료 확인 2014.07.25~2014.08.08  
폐암 44건 2013년도 진료분 자료제출 2014.04.21~2014.05.16  
신뢰도 점검 2014.06.11~2014.06.20 13종
최종자료 확인 2014.08.12~2014.08.22  
혈액투석 40건 2013년 10월~12월 자료제출 2014.04.17~2014.05.09  
최종자료 확인 2014.08.28~2014.09.05  

  ◎ 관리전략 수립 및 실시
구분 내용  실적 
다학제 회의체 운영  - 9개 회의체
(대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폐렴, 혈액투석, 중환자실, 급성심근경색증, 급성기뇌졸중) 
16회
평가지표교육 실시  전문의 및 전공의, 간호사 등 193명 22회 
지표 표준화 활동 - EMR 서식 개발 및 보완 9종
- 지표 관리 전산 프로그램 개발  9종 
지표 관리 활동 월별 모니터링 실시 및 관련부서 피드백 33회 
모니터링 결과 보고 (임상과장회의, 이메일) 33회 
평가 대비 활동 항목별 평가 설명회 참석  4회

  ◎ 평가결과 (2014년도 발표)
영역 항목 결과 비고
급성기 급성기뇌졸중 1등급 최우수가산
암질환 대장암 1등급  
유방암 1등급  
폐암 1등급 신규평가
외래약제 약제급여 주사제처방률 1등급  
항생제처방률 2등급  
약품목수 1등급  
외래처방약품비 1등급  
유소아중이염 항생제 사용 1등급  
주요수술 진료량 고관절치환술 1등급  
위암 1등급  
간암수술 1등급  
췌장암 1등급  
식도암 2등급  

 
 
학회 및 세미나 참가
 
 
학회명 참가자 기간 개최지
한국QI간호사회 봄 학술대회 윤수진 등 2명 2014.03.25 서울
2주기 인증평가 설명회 및 기본교육 김미란, 윤수진 등 기준책임자 10명 2014.03.31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연수교육 신석균, 임옥순 등 3명 2014.04.17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연수교육 노이나, 김현진 등 3명 2014.04.18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봄 학술대회 신석균, 김성우, 김미란, 윤수진, 김현진 등 9명 2014.06.13 서울
한국QI간호사회 QI전담자 초급과정(지표관리활동) 김현진 2014.06.27 서울
한국QI간호사회 QI전담자 초급과정(FMEA) 윤수진 2014.07.04 서울
2주기 급성기병원(종합병원) 인증제 설명회 윤수진 등 5명 2014.08.21 서울
제5차 2주기 급성기 병원 인증준비 교육 김미란, 윤수진 2014.08.27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 연수교육 윤수진 등 4명 2014.09.18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 연수교육 김현진 등 3명 2014.09.19 서울
한국QI간호사회 QI전담자 심화과정(정보관리활동) 김현진 2014.09.25 서울
한국QI간호사회 가을 학술대회 임옥순  2014.10.02 서울
2014년도 의료사고 예방업무 활성화 워크숍  임옥순 2014.11.21 서울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가을학술대회 신석균, 김성우, 임옥순, 김현진 등 12명 2014.11.27~28 대구


학회 및 세미나 개최
 
 
주제 실시일자 대상 장소
spss를 이용한 기초통계 분석 2014.03.06 지표담당자 정보교육장
자료수집 및 처리기법 2014.03.26~28 QI활동팀원 정보교육장
효과적인 자료처리 및 표현기법 2014.08.20~22 QI활동팀원 정보교육장
지표관리 2014.09.05 지표담당자 및 QI활동 팀원 4층 대회의실
위험관리분석도구 (FMEA) 2014.09.24 환자안전관리자 4층 대회의실
2주기 의료기관인증평가 대비 교육 2014.09~2014.12 (64회) 전직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