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성명 |
특수간호팀 팀장 |
부은희 |
신생아 집중치료실 |
수간호사 |
박양숙 |
간호사 |
이임재 장은진 김도영 박수영 유지민 차현미 서아름 허유라
이지은 |
보조원 |
이영옥 안옥희 |
분만실 / 신생아실 |
간호사 |
전준희 김경호 심자영 김소연 맹다애 김연경 |
보조원 |
황옥례 이경숙 |
모자동실 |
간호사 |
정영미 송해란 이은지 박수진 박미례 구자은 |
심장혈관계 집중치료실 |
수간호사 |
조지선 |
간호사 |
이세희 안세환 이선영 류선희 염의원 김현화 김선욱 오세민
안아영 |
보조원 |
송금희 서영미 장영미 |
내과계 집중치료실 |
수간호사 |
윤미선 |
간호사 |
박은주 허선희 장희영 이재은 조현영 박은정 조미정 조항언 이요나 고우빈 이정은 최보람 임한솔
김모아 김혜민 신유진 이미나 조민완 최지윤 임하나 박선아 성수경 정숙영 홍아람
정자경 |
보조원 |
오영자 고화경 함형숙 김운숙 |
외과계 집중치료실 |
수간호사 |
장정복 |
간호사 |
김영미 조연희 서정희 전경숙 나진선 신현아 김지은 김새미 안윤하 송지희 이보람 유지은 박숙희
유경하 이송이 정미영 한보령 박은지 김주희 이정미 서다솜 조은별 이승현 김조아 한소라 한송이
전윤미 이영화 박효순 김수연 김수현 김수은 지윤선 |
보조원 |
신은숙 김경숙 김종희 우수정 김황경 |
중앙수술실 |
수간호사 |
임혜선 이선영 |
간호사 |
김지연 장문영 윤순희 오순옥 유은경 이성순 진혜숙 김세희 배정은 남미희 이윤희 조해숙 전림형
민정선 김진선 박수정 강지향 김혜란 박병주 선미경 구하나 김은정 한선영 하민정 정 영 홍세희
이아현 정고운 황경환 이은정 최나영 신상은 박종안 박이슬 조민영 차호연 남서윤 박미영 김태연
이선화 심현석 강민우 황애자 김수미 백석화 이근영 |
보조원 |
민윤기 오진이 김영란 여건순 최선숙 구미경 최정자 |
중앙회복실 |
수간호사 |
길현희 |
간호사 |
한영숙 유소라 백은정 김윤정 김민숙 이정숙 류순덕 주애라 정승은 황현경 김진선 최유미 이서영
김세원 권기경 조진주 김지선 강문숙 조지연 유성이 권소영 |
보조원 |
박홍준 김민규 박인숙 |
중앙멸균소독실 |
수간호사 |
장계선 |
간호사 |
고희정 송명희 권은영 |
보조원 |
박종효 허재호 허태욱 추국희 안희자 오순심 허경옥 김영진 정영희 김순덕 이호빈 이태훈 박정희
이호순 |
|
1)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간호업무개선활동
◎ 집중치료실
- 신규간호사 집중치료실 Work book 수정·보완하여 2014년 신규간호사 프리셉터쉽 적용함
- SICU : 삽입기구의 ‘비 계획적발관률’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로 비계획적발관률 감소함(전년 대비 51.8% 감소), 병원감염률
1.41% 감소(13년 대비 0.89% 감소), 욕창발생률
감소(13년 대비 5.9%), 낙상발생률 0%, 환자안전 모니터링지표인
CNSI평가를 통한 환자안전관리로 환자안전사고를 예방, 월1회 평가결과 감소함(1
년대비 5.90→3.70) 감소함
- MICU : 다직종(의사, 간호사, 영양사) 회진 2회/주 시행(10~12월), 환자안전 모니터링 지표 CNSI 모니터링 결과 0.7점,
손위생 수행률 96.3%, 욕창발생률 10.21‰, 욕창 DW 프로그램 수정·보완, 집중치료실 업무규정 개정, 선임 간호사 인계
시트 개발 및 활용, 월별 업무개선활동 실시 및 우수자 선정 및 포상 12명, 제안서 제출 22건 및 장려상 2명 포상, 환자안전
감염의 날 행사 참여 (CS 역할극 은상 수상, 1:100 퀴즈 참가, CPR 시연 회 발표)
- CCU : 환자안전모니터링 지표 CNSI평가 실시 및 ‘면회시간 안전요원관리’, ‘suction line 고정걸대 및 l-tube line고정걸대
설치’ 등 환자 안전 개선활동 실시. ICU임상질지표 5종 모니터링 및 관리로 지표결과 향상, ICU적정성평가지표 7종,
모니터링 지표 6종 관리, 욕창발생률 3.03%(2013년 대비 76.2% 감소), 병원감염률 0% (2013년 대비 100% 감소), 직무
업무매뉴얼 수정, 부서내 업무개선 컨테스트 실시(18가지 제안 접수)
◎ 신생아집중치료실/분만실
- 신생아실/신생아집중치료실, 분만실 감염관리 지침서 수정보완
- 실무치짐서 및 업무매뉴얼 수정, 신규장비 교육 및 장비 매뉴얼 작성
- 제안제도 8건 제출, 법정비급여 신규진료재료 1개 도입
- 병원감염율 NICU 0.34%, 손위생 수행율 100% 평가
- 산부인과 MBO 참석
◎ 수술실
- 임상 질지표 관리 활동 강화 : TIME OUT (환자안전보장활동 : 100%달성)
- 수술부위표지 시행 72.3% 달성 (전년대비 16.4%향상)
- 외과적 손씻기 수행률 향상 활동: 14년 1차 조사 83%, 2차 조사 92.6% 향상
: 2014년도 8월호 심평원 QI 뉴스레터 우수사례 공모전에 선정 게시
- 수술실 예방적 향생제 적정성 평가 활동: 99.6%(전년대비 6%향상) 달성
- 수술병리검체 처리절차 개선(수기관리에서 바코드 시스템으로 절차 개선)
: 수술 병리 검체 처리업무를 전산화하고 개선함으로서 검체와 관련된 오류를
예방하고 정확한 진단과 결과를 환자에게 제공
- 사후정산 진료재료 입출고 절차 개선(2014~2015년)
: 수기관리에서 바코드 시스템으로 절차개선, 8,000여개의 사후정산코드 정리
◎ 마취회복실
- 수술 전 준비실 운영 지속 : 의료기관 적정성 평가 수술 예방적 향생제 부분 1등급 획득
- 마취, 회복실간호사 운영개선(안) 관련 : 강남세브란스 병원 벤치마킹, 회복실 간호사 N 근무자 2명 근무로 인한 15시간 당직
근무 및 주중 ON-CALL 폐지
- 마취관련 업무개선 : 마취기록지 작성 매뉴얼 제작, 마취통제실 모니터링용 TV모니터 2대 입고 및 모니터 Dash Board 사용,
Ultrasound guided nerve block 시행
- 회복관련 업무개선 : 진정약품 사용 국소마취 수술환자 회복실 입실관련 업무개선, 회복간호기록 매뉴얼 제작
- ‘수술실 심폐소생술 지침’ 개발 및 비상벨 시스템 개선
- 근로환경 개선사례 : 물품수납장 및 마약가방 보관장 제작, 회복실 세면대 설치
- 비보상개선 TFT 관련 마취과 모니터링 수가개선위한 자료작성 : 회복관리료 수가 신청
- 환자안전의 날 행사 퀴즈행사 참여 및 감염관리 우수부서 수상
◎ 중앙멸균소독실
- 이불, 수건 및 억제대 공급 방법 변경: 부서 배정을 없애고 맞교환에서 청구방식으로 변경
- 청결린넨 보관방법 개선 (오염방지를 위한 카트 커버 제작)
- 감염관리 강화 : Wax 청소 주기조절, 멸균기 보유 부서의 멸균기 관리 교육제공, Class 5 Chemical Indicator 도입으로 BI
배양결과 확인전 멸균물품 공급 가능해짐
- 멸균장비 관리업무 강화 : Leak Test 주기 조정(분기→월), 멸균일지 기록 보완
- E. O gas멸균실의 음압 시설점검 실시
(매주)
- E. O gas 멸균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부서 간 업무협의로 가동률 조정
- 미사용 린넨 품목 37종의 전산코드 삭제
2) 재무관점에서의 부서별 원가절감활동
◎ SICU
- 비처방성 진료재료 및 소모품 사용절약, 2013년 대비 1일 재원일당 환자별 비처방성 진료재료 및 소모품비 절감
(19,890원→19,574원)
- 1회용 드레싱 키트 사용량 절감(16,350개→8,140개)
◎ MICU
- 진료재료 사용금액 절감율
: Oxysensor 58.3%, IV Regulator 48.4%, 알콜솜 15.5%
◎ CCU
- 고정용 끈 사용으로 반창고 37.9% 절감 (2013년 사용량 대비)
- 자체제작 진료재료(foley & L-tube고정)사용으로 58.2%절감 (2013년 사용량 대비)
- 사용률에 따른 장비재배치 (syringe pump 등 4종 부서재배치)
- 적정 진료재료관리로 재고 총금액 2,953,964원으로 31.6%절감 (2013년 4,318,053원)
◎ 신생아집중치료실/분만실
- 잉여약 반납 : 약가 3,758,691원 반납 (2013년 약가 5,487,646원 반납)
- 잉여 진료재료의 활용 및 타부서 공유 : 부목 고정용 fixing roll
◎ 수술실
- 의료소모품, 진료재료 절약활동 목표(전년대비 3%절감) 달성
- 린넨 절약 : 수술전준비실에서 사용하는 반시트를 담요로 대체 (660장/월→30장/월 절감)
- 진료과별 수술실별 적정 안전재고관리(분기별 조정), 비보상성 진료재료 관리, EMR 화면공유를 통해 수술실 재료에 대한 정보
공유로 중복보유 감소, 처방현황 재점검을 통한 처방누락 방지
◎ 마취회복실
- ‘소아진정치료 수행률 향상 활동’ 개선활동을 위한 환자감시기 타부서 전환
: 중앙주사실, 소아청소년과 외래, 재활센터 각 1대식 총 3대 사용전환 완료
- Disposable oxisensor 진료재료 ICU계열부서 지원 : 미산정진료재료 구입비용 절감효과 발생
◎ 중앙멸균소독실
- 간호용품 자체 제작에 따른 구매비용 절감 (19,111,693원)
- 폐린넨 재활용을 통한 비용절감 (7,559,429원)
- 세탁한 린넨류 검수 시, 낡아서 폐기하는 린넨의 처리(기존 의료폐기물에서 일반쓰레기 처리) 비용 절감 (약 8,705,250원)
- 영상의학과 검사용 성의환의를 운동부하용 환의로 전환하여 비용절감 (총 706,717원)
- PKG 내용 조정을 통한 비용절감 (총150,040원)
3) 학습과 성장관점에서의 직무능력 향상 활동
◎ 팀 간호사 대상 직무역량개발 workshop실시 (1회)
◎ 집중치료실
- SICU : EBP Journal club 운영으로 EBP 실무변경추진, 인공호흡기 회로 교환주기 변경을 위한 근거 검색 및 인공호흡기
회로교환주기 변경(10일→14일), 섬망예방 위한 중재프로토콜과 섬망 고위험 환자의 관리 실무적용 및 원내 EBP소식지에
nursing review 게재, 근거기반 간호실무 보수교육 강사활동 1회(2014.06.03), 성교육 강사활동 2회(영도초교, 원중
초교), CPR강사활동 1회(일산고등학교) 전문분야 교육(CRRT 2회, 5명) 이수, BLS Provider 교육 4명 이수, 간호학사 및
대학원과정 수강 지원 3명, 간호사 보수교육 31명 전원이수, 신규 및 경력간호사 대상 프리셉터쉽 교육 6명 완료
- MICU : Group Study(A팀, B팀) 월별 운영(교재-중환자의학 워싱턴 매뉴얼, 대한중환자의학회 역), 진료과 MICU 직무특강
2회·15명, 분야별 학회 및 교육 프로그램 7회, 8명 이수,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TNT CP Certification 취득 1명, 간호부
상반기 우수사례 발표회
: 연무식 분무 적용 발표, 간호부 학술대회 석사논문 발표 1명, 원내보수교육 심혈관계간호 부정맥 강사 활동 1회, CS 원내
강사활동 2명, 개원기념 이사장상 포상 1명, 독서클럽 독후감 최우수상 포상 각각 1명
- CCU : 분야별 학회 및 교육프로그램 11회, 21명 이수, 간호부 임상간호학술대회 석사 학위논문발표 1명, Venitlator &
PCPS 등 장비교육 8회 실시, 진료과 EKG 사례교육(4회), 진료과 저널참석(28회, 80명), BLS provider(4명) & BLS
instructor(1명)이수, 독서클럽 10명 참여
◎ 신생아집중치료실/분만실
- 사이버교육/독서클럽 7명 7개 과정 이수, 보수교육/직급별 교육학점 100% 이수, 직무관련 외부교육 11개 주제 22명 참석,
간호학생 166명 실습지도, 우수사례 7건, 상반기 우수사례 발표 1건, 건강과 의료 고위자 과정 1명 이수
-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직무특강 각 1회 실시, 프리셉터 심화과정 2명
◎ 수술실
- 자발적인 노력을 유발하여 동기부여를 통한 병원경영목표 달성 및 장기발전 기반 구축도모
- 직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수술실 근무 연한별 단계별 직무역량 강화 교육실시
- 직무역량 체크리스트 활용을 통한 개인별 성과 작성, 우수사례 적용과 발표
- 직무역량 강화 워크샵 실시(3회), 경력개발교육(20회), 외부학회 및 교육참석(22회)
- 신규간호사 주1회 면담, 신규집담회 및 친목도모시간 공유
-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이용한 직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평가 결과(3점척도) 프로그램 만족도
: 2.03점으로 전체 평균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냄.
- 신규간호사 적응프로그램 만족도 결과 : 2.25점(3점 척도)
◎ 마취회복실
- 부서집담회, 마취과PA 집담회 월 1회 실시
- 회복마취간호사회 보수교육 및 마취약리과정 이수, 인증평가대비 교육 및 강사활동
- BLS Provider(7명) 및 ACLS Provider(2명) 이수
- 간호부 우수사례 발표 : ‘수술 중 급성출혈로 인한 쇼크에 대한 대처’ 및 ‘전신마취 후 회복실에서 급성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
발생 시 간호사례’
- 임상간호연구 : ‘1일 입원 전신마취 환자의 안정실 체류시간 비교조사연구’ (진행중), ‘척추마취 후 두통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
중재 프로토콜 개발’(완료)
◎ 중앙멸균소독실
- 병원 중앙공급분야회 학술대회, 관리자 워크샵 및 보수교육 참여
- 멸균(4회) 및 세척 (2회)관련 전문가 초빙 교육 진행
- 대한 병원감염관리학회 및 학술대회 참여
- 매월 부서 집담회 운영
- KIMES 국제의료기기 및 병원설비 전시회 및 킨텍스 국제병원의료산업 박람회 참관
4) 고객관점에서의 고객만족 간호경영활동
◎ 외부고객만족도 증진 활동
- SICU
· 집중치료실 보호자 교실 운영, 간호봉사대활동(흰돌복지관 배식봉사, 4명, 5회),
· ICU환자 안내문 내용수정, EMR서식으로 개발, 실무적용
· 간호대학 학생대상 임상실습지도(7개 간호대학 55명) 및 실습평가, 간담회 5회 참여
- MICU : 집중치료실 보호자 교실 12회 75명 운영, 보호자 교실 만족도 점수 3.5점,
BLS Instructor 지원(직원가족·강서구
보육교사·월촌중학교 3회), 의료봉사 활동(외국인 이주노동자·나눔 대축제 2회), 간호부 자원봉사활동 6회, 마일리지 후원금
기부 17명, 546점, 546,000원
- CCU : 고혈압교실 10회 31명실시(만족도 4.9점), 허혈성심질환교실 75명(2013년 대비
19% 증가)실시, 찾아가는 서비스
CPR 2회 30명, 고혈압교실 3회 95명 실시
- 신생아집중치료실/분만실 : 임부교실12회 운영 만족도 조사 3.4점, 신생아집중치료 실 부모교실 52회 운영 만족도 조사
3.6점, 백일카드 351건 발송, 모유수유 160명 교육, 미숙아 백일잔치 2회
- 중앙수술실
· 수술전 준비실운영: 클래식, 명상음악제공, 수술준비사항에 대한 설명과 간호를 통해 불안감 감소
· 수술환자 보호자 대상 SMS 문자서비스 제공
: 수술실 입실에서 회복실 퇴실까지 수술정보 제공
· 수술진행 상황 안내 모니터 정보 제공을 통해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감 감소 및
만족도 향상
· 1일 입원환자 만족도 설문조사(수술환자 및 보호자 대상) : 3.67점(4점 척도)
1일 입원환자 입원 현황: 2014년 1,233건으로 전년대비 6.1% 증가함
- 마취회복실
· 고양시 여성대축제 간호부 중창단 참여, 지역사회 주민대상 찾아가는 서비스(초등학교 학생 대상 손씻기 및 성교육 강사
참여), 간호봉사단 활동
· 1일 입원 환자 대상 만족도 조사 실시(4점 만점에 3.7점)
- 중앙멸균소독실 : 기구 및 린넨 사용자 만족도 조사, 간호학생 실습 및 임상교수 연수교육 제공
◎ 내부고객만족도 증진 활동
- 공통 : 특수간호팀 ‘간호문화를 바꾸는시간 15분’ 4회 실시
- SICU : Daily Goal Worksheet 실무적용 결과평가 및 서식 보완적용, 다학제간 회진 및 환자별 인수.인계업무 활용, ‘SICU
멤버쉽’ 운영으로 간호사간 원활한 의사소통, 간호경험공유, 업무스트레스 해소를 목표로 근무 후 활동지원, 직원전수대상
생일카드보내기 행사 . 노후비품교체(전동침대 11대 교체, 인공호흡기 3대, E-cart 2대, 압력계3개, 후두경2개, 제세동기
1대, 심박출량모니터1대), 환경개선으로 수납장교체, 간호사 식사공간 바닥교체, 천정 흡입구청소로 환기수준개선, 헤파필터
교체
- MICU : 근로환경 개선활동 - 천정 급·배기구 청소 관리(2회/월), 간호대기소 하 부 수납장 및 마약 보관장 설치, 사직률 0%
- CCU : 관련부서 업무협의(2회), 칭찬게시판 활용으로 우수직원 포상, 가족과 함께하는 문화행사 2회 실시, 부서 워크숍 실시,
병원장배 복지부체육대회참여
- 중앙수술실 : 생일축하, 우수간호사(2명)선정포상, 워크샵(40명), 송년모임(65명), 체육대회참석, 외부학회참석
· 간호를 바꾸는 시각(간바시), 분만실/수술실/회복실 Senior 간호사 모임(분수회)
프로그램 운영
· 병원 송년회에서 우수부서로 선정되어 수상함
- 마취회복실 : 부서 내 소위원회 활동, 중앙수술실 합동 시무식 및 대청소, 마취통증의학과 합동 MT 진행, 개원14주념 기념
보건복지부 장관상 포상(이근영), 부서워크샵 실시, 2주기 의료기관평가 대비전략수립, 만족도조사결과 5점 만점에 5점, 우수
직원 해외선진병원 연수(이정숙 : 2014.11.30~12.6, 미국UCLA), 4급 승진시험 합격(한영숙)
- 중앙멸균소독실 : 각종 간호용품 제작 지원, 수거직원 인력 보충 및 업무분장 조정으로 근로환경 개선, 직원용 Scrub suit 새
린넨 공급 시 세탁하여 불출, 수술실 오물처리실 내 린넨 보관방법 개선(수거카트 비치), 유해화학물질 누출 대비 직원안전
강화(보호장비 구비, 장비 사용교육 및 관리), 수거직원을 위한 작업용 안전화 제공, Scrub Suit 사양 보완(색상, 디자인 등)
및 관리 품목수 감소(직종별에서 성별로 구분)
- 부서별 생일축하, 우수직원포상, 단합대회, 부서별 워크숍, 신규간호사 돌잔치, 병원장배,
복지부 체육대회 참여
5) 부서별 질 향상 활동
- SICU : 섬망발생 예방 프로토콜 개발, 실무적용, CAUTI 예방 활동추진, CAUTI Care bundle 실무적용 및 모니터링, Suction
line 오염 방지를 위한 suction line 홀더 개발 및 관리지침 실무적용
- MICU : 비계획적 발관율 감소 CQI 활동
- CCU : 안전한 관상동맥 조영술 환자관리 CQI (구연발표 장려상 수상)
- 신생아집중치료실/분만실 : ‘시뮬레이션을 통한 신생아 소생술 대처능력 향상CQI (포스터 은상 수상)
- 수술실 : “수술실 환자 안전관리 점검표를 활용한 환자상태 확인 강화 활동”
: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CQI 경진대회 포스터 발표,
“비처방성 의료소모품의 효율적인 관리활동”: 수술건당 비용 17% 감소, 활동 전후 비용 6,486,576원 절감
- 마취회복실 : ‘부서원의 마취장비 활용능력 향상’,‘전신마취 수술환자의 체온유지율’ 분기별 지표관리
- 중앙멸균소독실 : 멸균물품 관리 표준화 활동(2014년 QI경진대회 포스터 발표), 멸균물품관리 업무 숙지도 7점 향상
(개선 전 78.6점, 활동 후 84.3점), 멸균물품 세부지침 수행률 32.3% 향상 (개선 전 52.8%, 활동 후 85.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