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성명 |
병동간호팀 팀장 |
윤호순 |
41병동 (재활의학과) |
수간호사 |
권말선 |
간호사 |
장영경 서미영 양혜련 박규리 김다정 신지영 권민채 박희선 노선민 |
보조원 |
강명주 |
51병동 (정형외과) |
수간호사 |
이금선 |
간호사 |
김경란 안은미 강명희 박은선 이예지 강교림 조수진 이혜진 오상언 정유진 오정기 심마니 손동철
신보람 이해연 이미나 |
보조원 |
박은옥 |
52병동 (정형외과, 비뇨기과) |
수간호사 |
임성숙 |
간호사 |
채민경 김현경 정다희 함태은 조미옥 신지혜 유성화 조효진 김영현 백성원 김채영 이원기 김성모
윤성희 배미령 김소정
이선희 |
61병동 (신경외과) |
수간호사 |
김정남 |
간호사 |
이천명 류호해 고한례 강혜영 박혜리 오선영 김혜인 이다슬 송나리 김선아 임난영 송현진 양경화
김미분 신재임 |
보조원 |
김미애 |
62병동 (포괄간호서비스 시범 병동) |
수간호사 |
최은영 |
간호사 |
김종희 이상희 김유나 이여진 박지희 이숙희 정소연 이은진 정영미 김송혜 김수연 박수지 이유란
정아인 유혜진 이은영 한송이 이지숙 유루리 장주예 김동아 김나라 홍은비 유은정 정민영 |
조무사 |
김정숙 이운선 박상우 이소영 |
보조원 |
고미정 고경섭 김판주 |
71병동 (외과, 내분비내과) |
수간호사 |
진은영 |
간호사 |
김진순 김인화 홍혜숙 권현정 오성정 서희승 고영옥 이혜정 신유진 김재림 김하늘 임은영 김지희
임현지 최은주 심영숙 |
보조원 |
박순임 |
72병동 (포괄간호서비스 시범 병동) |
수간호사 |
박민현 |
간호사 |
심정민 박광선 권도연 김현준 박지선 정진주 박혜상 최서울 이진솔 고대향 이보라미 남궁하나
최은숙 장윤희 백상화 박조은 김주희 김경신 최민지 진아영 정지혜 정승기 |
조무사 |
신순옥 고두경 최미라 하정민 조인영 최순옥 |
보조원 |
고옥환 |
81병동 (포괄간호서비스 시범 병동) |
수간호사 |
홍나숙 |
간호사 |
유자경 김미옥 정후주 김혜숙 강현화 임해리 한근영 안솔지 박보람 오보라 조소현 김성준 김미림
변지영 김윤지 이현수 최윤정 유현미 박서연 김민영 원미화 이혜원 이지연 차유진 정 욱 윤영선
김미라 이가연 |
조무사 |
이인정 손미경 전혜련 한순희 최지혜 김민숙 |
보조원 |
권오실 허태경 |
82병동 (포괄간호서비스 시범 병동) |
수간호사 |
정복연 |
간호사 |
최지연 최영미 강판임 김재영 정미정 이아란 이수연 이서영 김한림 권이련 유미희 신기혜 진달영
이길민 유주희 허유나
심재희 박진호 정루비 이예진 이은혜 구효진 김지영 염선혜 이나래 임찬미 |
조무사 |
임규숙 김선자 박화선 오세로 류휘경 문서영 |
보조원 |
이선미 |
91병동 (소아청소년과) |
수간호사 |
김혜선 |
간호사 |
홍영숙 박인숙 정다희 이유미 김민정 김한해 주어진 정혜정 황희연 윤효진 이진원 김경미 정혜란
안해라 방 글 |
보조원 |
이혜자 |
92병동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
수간호사 |
박애희 |
간호사 |
손지연 임수정 사경순 정선화 정지연 한지연 고은라 박은화 김유니나 이슬비 윤선아 김수현 오유정
김은아 권지혜 김나윤 정혜진 황명숙 |
보조원 |
김미숙 |
101병동 (신경과, MRSA 격리병실, Stroke unit) |
수간호사 |
김영현 |
간호사 |
이영미 김현선 정선주 김지영 태혜경 권민경 이한라 김민지 박해영 신효진 오한솔 김강현 장해진
박영란 |
보조원 |
정혜영 |
102병동 (신장내과, 소화기내과) |
수간호사 |
손재이 |
간호사 |
신은아 박해진 최희정 장유진 김희정 오준희 진현경 임현지 김 정 황현희 김혜진 임호정 이경숙
박귀염 박민희 조현정 최민지 유 희 김회선 노정윤 유주연 김누리 양수연 이수연 문민정 김형욱 |
조무사 |
송혜경 장병덕 임미례 음영순 김미영 박인숙 |
보조원 |
심숙자 김규석 |
112병동 (호흡기내과, 감염내과) |
수간호사 |
송복희 |
간호사 |
손자영 황순정 김기은 조미희 김선희 강유미 김경미 조상교 이정빈 박혜진 유새롬 김수미 김지혜
심지선 김소진 권태은 김나리 강민정 최예은 서지원 김주영 김지영 김희영 김영은 류연호 이지영
이지헌 |
조무사 |
박원희 최외숙 정순옥 남춘희 이종임 이성자 |
보조원 |
이금자 김이수 |
121병동 (VIP병동) |
수간호사 |
박영주 |
간호사 |
김혜숙 윤선미 김혜선 허정희 하미영 정한나 신세리 나보름 임가람 최윤정 신은정 |
보조원 |
정경숙 |
122병동 (정신건강의학과) |
수간호사 |
오인옥 |
간호사 |
박희선 김경희 문혜성 진경애 김선미 김영근 최권수 김동훈 장은정 김인아 |
보조원 |
심정숙 박용희 임정진 정지현 김중완 |
131병동 (가정의학과) |
간호사 |
오은지 이효정 박현선 김지혜 |
보조원 |
선용석 |
완화의료병동 |
수간호사 |
이윤미 |
간호사 |
김치향 김경숙 김영미 김진건 이원정 |
|
가. 주요활동
2014년 병동간호팀은 건강보험 모델병원의 역할을 위한 포괄간호서비스 병동을 4개 병동에서 6개 병동으로 확대 운영하였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2014.5월부터는 정맥주사팀을 신설 운영하여 간호서비스
향상을 도모
하였다. 또한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에 대비하여 최신의 임상실무를 반영한 실무지침서를 전면 개정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하였다.
나. 대외활동
◎ ‘간호사 투약오류 발생감소‘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구연발표 최우수상 수상 (이경숙)
◎ ‘수술환자 안전 향상 활동‘ 한국의료질향상학회 구연발표 (임성숙)
◎ ‘오심구토 중재를 위한 최신의 근거중심 간호중재 및 프로토콜개발
기초간호과학회 구연발표 (오인옥)
다. 주요실적
◎ 전체병동 운영현황 (2014.01.01~2014.12.31)
구 분 |
병상이용률
(%) |
병상 회전률
(회) |
입원월평균
(명) |
퇴원월평균
(명) |
연간입원환자
(명) |
연간퇴원환자
(명) |
평균 및 합계 |
84 |
2.9 |
1,969 |
2,041 |
23,630 |
24,491 |
◎ 입원환자 중증도
구 분 |
중 증 도 |
1군 |
2군 |
3군 |
4군 |
합계(명) |
39,414 (17.8%) |
112,810 (51.0%) |
51,392 (23.2%) |
17,535 (7.9%) |
◎ 포괄간호서비스병동 운영
- 사업개요
입원환자에게 질 높은 포괄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병원에
상주하지 않아도 안심하고 환자를 맡길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
- 운영병상
[기존] 4개 병동 170병상 → [확대 후] 6개 병동 256병상 (2013.09.01) 4개 병동 → (2014.04.01) 5개 병동
→ (2014.04.21) 6개 병동
- 운영실적
(기간 : 2014.01~2014.12)
구분 |
이용환자수(명) |
일평균
재실환자수 |
평균
재실일수 |
병상
이용률(%) |
계 |
일평균 |
81병동 |
1,825 |
5 |
34.3 |
6.9 |
79.7 |
82병동 |
2,316 |
6.3 |
34 |
5.4 |
79.1 |
72병동 |
1,889 |
5.2 |
28.5 |
5.5 |
69.3 |
62병동 |
1,948 |
5.3 |
32.8 |
6.2 |
76.3 |
102병동 |
903 |
3.5 |
26.2 |
7.5 |
60.9 |
112병동 |
1.084 |
3.9 |
26.6 |
6.8 |
61.9 |
평 균 |
9.965 |
29.3 |
182.4 |
6.2 |
71.2 |
※ 운영실적은 포괄병동 입실 동의서를 작성한 환자 기준으로 작성
- 주요 실적
· 신규간호사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 1회 개최 (2014.04.17, 46명 참석)
· 포괄간호서비스 병동 확대 이후 포괄간호서비스 개념 정립을 위한 워크숍 1회 개최 (2014.06.10, 190명 참석)
·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 체험 수기 공모 수상 (최우수상 김선애, 입선 허유나, 정후주)
◎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업 운영
- 사업개요
말기암환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인간의 존엄성 제공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진료지침 개발 및 진료
모델 구축
- 운영병상
: 13병상
- 운영실적
구분 |
입원 |
퇴원 |
총입원
환자수 |
신규
환자수 |
평균
재원일수 |
일평균
환자수 |
병상
이용율(%) |
총퇴원
건수 |
사망퇴원
건수 |
총계 |
321 |
303 |
13.1 |
11.57 |
89 |
261 |
181 |
월평균 |
26.75 |
25.25 |
|
|
|
21.8 |
15.1 |
◎ 정맥주사팀 운영
- 사업개요
입원환자의 정맥주사에 대한 불안감과 불편감을 해소하고자 정맥주사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간호사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 운영현황
· 운영개시 : 2014.05.12일부
· 근무인원 : 간호사 2명 시차근무제
· 운영일정 : 월~금요일 정규 병동순회 운영 (주말 및 공휴일 근무 제외)
· 업무내용: IV Start, IV exchange, 검사 IV, 수술 IV, 채혈, Blood culture 등
- 운영실적 (기간: 2014.05~2014.12)
의뢰건수(건) |
총 의뢰건수
(건) |
월평균
(건) |
일평균
(건) |
난이도(%)
(보통이상) |
1회 성공률
(%) |
환자만족도
(만족이상)(%) |
정맥주사 |
채혈 |
5,870 |
699 |
6,569 |
821 |
44 |
77 |
84 |
93 |
◎ 업무 효율화를 위한 개선 활동
- 병동간호팀 실무지침서 전면개정
- 수술환자 치아관리 안전을 위한 치아상태 확인표 개발 및 활용
- 응급카트 구성 품목 재정리 및 기관 삽관을 위한 목 베개 추가비치
- 전과 전동 시스템 개선을 위한 지침 수정 및 보완, 전동기록지 개발
◎ 환자 안전을 위한 질향상 활동
주제 |
활동부서 |
비고 |
간호사 투약오류발생 10% 감소 |
병동간호팀 |
QI경진대회 구연발표 / 은상수상 |
수술환자 안전향상 |
병동간호팀 |
QI경진대회 구연발표 |
자살예방을 위한 표준화 활동 |
122병동 |
QI경진대회 구연발표 / 금상수상 |
입원환자의 환자확인 수행률 증진 |
간호부업무개선위원회 |
QI경진대회 구연발표 |
◎ 퇴원환자 전화방문
-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건강관리, 활동상태 및 회복상태를 전화로 상담하여 교육의 이행여부를 확인하고 추후관리
제공
- 전화방문 가능 건수 18,550건 중 18,169건 성공 (97.95%)
◎ 입원환자만족도 향상활동
- 입원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입원 만족도 향상 및 병원발전에 기여
- 월별 입원환자 만족도 모니터링 (매월 입원환자, 보호자대상 10문항)
- 문항내용 : 간호사 응대태도, 친절성, 설명력, 신속성, 안전성, 전문성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평균 |
평균
(점) |
96.4 |
94.7 |
96.2 |
94.3 |
95.5 |
95 |
95.4 |
96.1 |
95.6 |
95.3 |
96.8 |
97.1 |
95.8 |
◎ 병동간호사 MOT 향상활동
서비스이미지, 서비스 표현, 서비스 이행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평균 |
평균
(점) |
88.9 |
88.2 |
88.8 |
89.7 |
89.1 |
88.5 |
89.5 |
89.6 |
89.6 |
89.6 |
89.7 |
90.6 |
89.3 |
◎ 환자교실 운영
- 병동별 특성에 맞게 교육프로그램 구성
- 당뇨교실, 인공슬관절 교실 등 11개 교실운영
- 교실운영 실적 : 총219회 2,287명
교실명 |
교육내용 |
실적 |
당뇨 교실 |
당뇨환자의 간호관리 등 |
23회/164명 |
재활미술치료 교실 |
재활환자들의 미술교실 등 |
43회/168명 |
인공슬관절 교실 |
인공슬관절 치환술 방법 및 관리 등 |
2회/13명 |
신경외과 척추교실 |
수술방법 및 퇴원 후 관리 등 |
24회/140명 |
정형외과 척추교실 |
척추질환의 종류, 치료방법 등 |
22회/156명 |
장수술환자 교실 |
장 절제술후 자가간호 방법의 교육 등 |
18회/66명 |
재활웃음 교실 |
웃음을 통한 신체의 긴장완화 유도 등 |
9회/289명 |
호스피스 교실 |
환자가족 대상으로 증상, 호스피스 내용 등 |
23회/32명 |
뇌졸중 교실 |
뇌졸중의진단, 원인, 치료, 합병증관리 등 |
20회/109명 |
웃음 교실 |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는 대상자에게 웃음치료를 통한 신체적 심리적 안위제공 |
11회/202명 |
항암화학요법 교실 |
항암제 치료 목적과 부작용 관리 등 |
24회/948명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