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밸런스
더위 VS 추위

IH 진료실 ①

여름병은 가라!
건강한
여름 나기

많은 사람들이 휴가 계획으로 연중 가장 설레는 시간을 보내는 여름. 하지만 여름 질환으로 휴가를 망쳐버린다면 어떨까? 여기 건강하고 알찬 여름을 위한 여름질환 극복법을 준비했으니, 미리미리 예방하고, 비상시 대처법까지 익혀두자.

글. 조용석 교수(소화기내과), 조남준 교수(피부과)

식중독 FREE, 배앓이 OUT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

식중독은 5월부터 9월 사이에 한 해 발생률의 80% 이상이 발생한다. 신선한 아침에는 괜찮았던 음식도 갑자기 더워진 날씨로 인해 상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어느 곳에나 미생물은 존재한다. 이 미생물들은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면 놀라운 속도로 번식하면서 독소를 생성한다. 상한 음식은 세균이 번식하면서 독소를 생성해 놓은 음식이다. 상한 음식을 섭취하면 식중독에 걸려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하게 되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중독의 증상은 감염원의 종류와 감염원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식중독은 그 원인에 따라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과 화학적 유해물질(식품첨가물, 잔류농약, 포장재에 의한 중독 등), 자연독(복어, 독버섯 등)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세균성 식중독은 식중독의 가장 흔한 형태로 세균 감염 자체가 원인인 감염형과 세균이 만든 독소를 섭취하여 발생하는 독소형으로 구분된다. 독소형 식중독의 대표적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 보툴리눔균 등이며, 독소 섭취 후 30분에서 4시간 내로 빠르게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형 식중독은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균, 병원성 대장균, 콜레라균 등이 대표적 원인으로 섭취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1~2일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식중독의 전형적인 증상은 원인 음식 섭취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이지만 심한 경우 발열, 오한, 혈변, 탈수, 신장기능 저하 및 신경학적 증상(언어장애, 근력 약화, 복시, 연하곤란) 까지도 보일 수 있다.
식중독의 대부분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경우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혈변, 발열, 식욕부진, 탈수 등 증상이 심해서 견디기 힘들거나 증상이 24시간 이상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외 여행 직후 발생한 경우, 집단으로 발병하는 경우,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식중독의 치료는 대부분 수액 공급과 전해질 보충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 충분하다. 항구토제나 지사제의 사용은 주의가 필요하다. 설사를 멎게 해주는 지사제는 경우에 따라서 증상과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한 환자에게 선별해서 사용한다. 증상 발생은 세균 자체가 아닌 세균이 만들어놓은 독소에 의한 것이므로 대부분의 식중독에서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환자가 열이 심하거나 2차감염이 우려되는 고위험군의 경우 의학적 판단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식중독은 예방이 최선의 치료이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을 지켜야 한다.
첫째, 충분히 익힌 후 섭취한다. 어패류는 끓는 물에 1분 이상 삶아 완전히 익혀 먹는 것이 좋다.
둘째, 식품을 만질 때는 비닐 장갑을 착용한다. 맨손으로 음식을 만지면 손에 있던 황색포도상구균에 쉽게 오염된다.
셋째, 조리 전 재료를 깨끗하게 씻는다. 미국 질병통제센터 조사 결과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의 약 80%가 날계란이나 반숙계란을 먹고 발생했다고 한다. 계란 껍질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경우가 많으므로 계란을 깨기 전 물로 씻거나 1회용 주방 타월로 닦은 뒤 깨는 것이 좋다. 냉장고에 보관했더라도 오래된 것은 피하고, 맛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아까워하지 말고 버리자.
넷째, 식사하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손을 씻을 때는 비누거품을 충분히 내어 손과 팔을 꼼꼼히 문질러 닦고 흐르는 물로 헹군다.
생활 속 먹거리에 대해 조금만 더 신경 쓰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한다면 올여름도 식중독 없는 건강하고 즐거운 계절이 될 것이다.

식품별 흔한 식중독 균
| 해산물 |
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 닭고기 |
캄필로박터균, 장티푸스균, 이질균
| 덜 익힌 햄버거 |
장출혈성 대장균(O–157균)
| 볶음밥 |
바실루스 아우레우스균
| 마요네즈&크림 |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장티푸스균
| 계란 |
살모넬라균
여름철 발 건강, 곰팡이 감염을 조심하세요! 피부과 조남준 교수

여름 발 건강에 가장 큰 문제는 곰팡이 감염인 무좀이다. 피부 각질층에 있는 곰팡이 일종인 백선 감염 ‘무좀’은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에 증가 하고 주로 발에 발생한다. 주로 20~40대에 많고 어린아이에게는 드물다. 임상적으로 지간 형, 소수포 형, 각화 형으로 나눈다. 지간 형은 가장 흔한 형으로 주로 발가락 사이에 병변이 나타난다. 소수포 형은 발바닥이나 발 옆에 소수포가 산재해서 나타나고 융합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가 나타난다. 여름에 땀이 나면 악화되고 수포가 형성될 때 가려움이 심하다. 각화 형은 발바닥 전체에 걸쳐 정상 피부색의 각질이 두꺼워지고 긁으면 고운 가루처럼 떨어진다. 만성적이고 치료가 잘 안되며, 자각 증상이 별로 없다. 이 세 가지 형은 명확히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많으며 여러 형이 복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지간 형이나 수포 형은 심하게 긁어서 염증이나 2차감염이 생기기도 한다.
기본적인 치료는 항진균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그러나 염증이나 2차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염증이나 이차감염을 치료한 후 진균에 대한 치료를 해야 한다. 각질층이 두꺼워 지는 각화형의 경우에는 각질 용해제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진균제 도포로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해야 한다.
예전의 경구용 항진균제는 간 독성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요즘에 나오는 약들은 간에 이상이 없는 경우 별 문제 없이 복용할 수 있다. 간혹 족부 백선을 치료하기 위해 발을 빙초산에 담그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기 때문에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진균 감염은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항상 발을 깨끗이 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하며, 건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신발을 자주 바꿔 신어 신발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는 것도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름철 가장 흔한 발 건강 문제는 무좀이지만 그 이외에도 양말을 신지 않고 땀이 많이 나서 신발의 재질(가죽이나 천 염색약)이 땀에 녹아 피부에 접촉하면서 접촉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접촉 피부염인 경우에는 치료 방향이 무좀과는 다르나 임상 양상은 비슷할 수 있어 곰팡이 검사 등을 시행하여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 피부염의 경우 양말을 신어 발 피부와 신발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고, 양말이 땀에 젖으면 접촉 피부염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여분의 양말을 가지고 다니면서 자주 갈아 신는 것이 좋다.
접촉 피부염의 치료는 스테로이드 국소 도포제를 주로 사용하고 가려움이 심하면 가려움을 감소시키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급성인 경우 진물이 많이 나는데 냉 습포를 하면 진물을 줄이고 병변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땀이 많이 나면 발과 신발 사이에 마찰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피부 장벽이 손상되면서 외부의 세균 침입이 증가해 세균 감염이 더 발생할 수 있고 무좀이나 습진이 있을 경우에는 가려움으로 긁게돼 피부 손상으로 인한 2차감염도 발생할 수 있다.
감염이 있으면 보통 붉어지면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고 심하면 진물이나 고름이 나타날 수 있다.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 균을 찾고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하며, 무좀이나 습진 같은 기저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함께 치료해야 감염 재발을 줄일 수 있다.